본문 바로가기
반도체 공학/Solar cell

Intro-1) 태양전지 TMI편 (feat. 넓고 얕은 지식)

by SeH_ 2022. 10.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재미있는 주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넓고 얕은 지식은 사람을 정말 유식하게 보이게 만듭니다. 

 

위 포스팅은 이 쪽 지식이 아예 없어도 괜찮습니다. '넓고 얕은 지식'이니까요. 

 

서론 그만 말씀드리고, 빠르게 TMI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태양전지 TMI 1

태양 전지는 '태양열'이 아닌 '태양광'을 사용하여 전기를 만듭니다. 

대구에서 태양으로 인해 아스팔트가 엄청 뜨거워져 계란을 구워서 먹기도 했는데요.

이는 태양의 ''에 의한 것입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 즉 태양의 에서 전기를 생산합니다.

 

혹시 광전효과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빛이 특정한 물질에 부딪히면, 전자가 방출되는 효과를 광전효과라고 합니다. 

아인슈타인이 광전 효과 연구를 통해 노벨상을 받았죠.

 

태양 전지는 이 '광전 효과'를 통해 태양전지에 전자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합니다. 

 


태양전지 TMI 2

태양전지의 모양을 보고 단결정/다결정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단결정/다결정이 무엇인지 모르시죠. 

단결정 : 비싸고 품질 좋음, 대량 생산 힘듦

다결정 : 싸고 품질 나쁨, 대량 생산 가능

이런 느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키백과

 

동그라미 친 부분처럼, 결정형 태양전지는 저런 식으로 끝 모서리 부분이 파여있습니다. 

 

그럼 다결정은요?

출처 : LITEL Technology

사각형 모양입니다.. 

 

대부분 태양전지는 효율이 좋고 비싼 결정형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