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공학5 Display) 1편, CRT(Cathode Ray Tube) 추억 속에 남아있던 TV, CRT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CRT의 원리 음극에 설치된 전자총에 열(히터) 인가 > 열전자 방출 > 편향판으로 열전자의 위치 편향 > 형광체와 충돌 > 빛 방출 위 CRT는 전자와 형광체와의 충돌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잘 도달하기 위해 TV 안을 진공상태로 맞춰줘야 합니다. * 열 전자 방출 메카니즘 금속/공간 접합면은 Metal의 일함수로 인해 'ㄱ자' 모양으로 전위 곡선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외부 전기장을 가하면 위 'ㄱ'자 모양의 전위 곡선이 휘어져서, metal의 일함수보다 낮은 에너지를 가해도 metal의 전자가 공간상으로 방출되게 됩니다. CRT 장점 장점 1) 고화질이며, 광시야각이 높고, 고속응답이 가능하며, contrast rati.. 2023. 12. 11. Display) TV 시장 Display 기술 Overview, 기술의 역사 Display란, 각종 전자기기의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출력장치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모니터, 태블릿, TV, 스마트폰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TV 시장의 대표적인 Display 기술 Overview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디스플레이 구분 디스플레이의 구분은 크게 '자발광 디스플레이', '비자발광 디스플레이'로 나뉩니다. - 자발광 디스플레이 자발광 디스플레이란, 외부의 광원을 이용하지 않고 소자 스스로 발광,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입니다. 대표적으로 현재 잘 사용하지 않는 CRT, PDP, FED 등과, 상용화가 된 OLED-TV, QD-OLED-TV 연구 진행중인 QD-LED TV 등이 있습니다. - 비자발광 디스플레이 비자발광 디스플레이란, 외부의 광원(CCFL(Cold Cathode F.. 2023. 12. 10. 탄소 동소체 탄소 동소체는 정말 다양합니다. Diamond, Graphene, 탄소 나노튜브, 풀러렌(C60)등이 대표적인 탄소 동소체입니다. 이 탄소 동소체들은 과학계에서 정말 골칫덩어리들입니다. 소재는 너무 좋은데, 이를 응용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만들기도 어렵고요. Diamond Diamond는 탄소 원자가 4개의 이웃 탄소 원자와 3차원적으로 무수히 많이 반복되어 있는 결정체입니다. Diamond를 중심으로 차세대 Ultra-Wide Bandgap 반도체 소재를 연구하는 연구실도 많지요. 다이아몬드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High thermal conductivity(Cu 보다 5배 큼) - High breakdown voltage(up to 10MV/cm) - High Carrier mobil.. 2022. 11. 21. 유기 반도체의 정의, 장점 유기 반도체의 정의 유기 반도체는 유기물로 만들어진 반도체입니다. 유기물이란, 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사람의 각질, 몸도 대부분 유기물이죠. 특정 반도체 시장은 무기 반도체(실리콘 등)가 아닌 유기 반도체를 적용하려고 많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유기 반도체의 장점 유기 반도체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ightWeight 2. Flexible 3. 저온 공정 4. 낮은 가격 >> 제조가 매우 쉽습니다. Roll to Roll 공정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합니다. 싸고, 저온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용화에 있어 유기 반도체가 무기 반도체에 비해 매우 유리합니다. 유기 반도체의 단점 유기 반도체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2022. 11. 20. 그래핀 (Graphene) 특성, 응용 (Application) 안녕하세요, 오늘은 그래핀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석박 통합 과정으로 그래핀을 연구하고 있으며, 꽤나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래핀은 '신이 내린 소재' , '꿈의 소재'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래핀을 만드는 법으로만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있으니까요.심지어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이 '스카치테이프 박리법'.'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연필심(Graphite)의 한 층을 떼 내는 박리법으로 노벨상을 받았습니다.이 한 층이 '그래핀'입니다!근데 이 그래핀은 왜 이렇게 유망할까요? 만드는 공정 하나로 '노벨상'을 받을 정도면, 그래핀은 대체 무엇일까요?그래핀은 탄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그래핀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Gr.. 2022. 10.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