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phene Intro
그래핀은 '신이 내린 소재' , '꿈의 소재'라는 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핀을 만드는 법으로만 '노벨상'을 받은 사람이 있으니까요.
심지어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이 '스카치테이프 박리법'.
'스카치테이프'를 이용하여 연필심(Graphite)의 한 층을 떼 내는 박리법으로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이 한 층이 '그래핀'입니다!
근데 이 그래핀은 왜 이렇게 유망할까요? 만드는 공정으로 '노벨상'을 받을 정도면, 그래핀은 대체 무엇일까요?
그래핀은 탄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핀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Graphene 장점
1. 전기적 성질
Current density가 높고, Carrier mobility, 즉 전자 이동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로 인해 생기는 특성인 빠른 전기전도도는 '전기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죠.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합니다.
Thermal conductivity도 매우 높죠. 이 수치는, 다이아몬드의 2배 이상, 구리의 12배 이상입니다. (위키백과)
전자 소자에서 '열'은 정말 크게 고려를 해야 합니다. 열화가 되면 소자가 터지니까요.
모든 소자는 열 전도도가 좋아 열을 밖으로 잘 빼내어야 합니다.
이 차원에서 그래핀은 정말 훌륭합니다.
2. 물리적 성질
그래핀의 강도는 강철의 약 200배 정도 높다고 합니다. (위키백과)
탄성도 뛰어나, 구부려도 잘 깨지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전기적 성질을 잃지도 않지요.
(참고로 2D material이기 때문에, flexible합니다.)
Volume 대비 large surface area를 가지고 있습니다. (표면적이 큽니다.)
이는 Graphene sensor로서의 정말 무궁무진한 발전을 할 수 있습니다.
3. 광학적 성질
투명하여 투명 전극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Graphene Application
Application은 정말 무궁무진합니다.
1. Biosensor
2D material의 특성으로 매우 넓은 표면적을 가지고 있고, 가스 분자와 표면에서 interact가 잘 되어 Sensing이 정말 잘 됩니다.
추가적으로 전기적 성질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ultra response가 가능합니다.
Biosensor FET을 이용하면 App, computer에 연동이 정말 쉽게 될 수 있습니다.
2022.10.02 - [반도체/Biosensor] - 1. Biosensor의 종류, 원리 (ISFET, EGFET의 원리) (feat. Graphene)
1. Biosensor의 종류, 원리 (ISFET, EGFET의 원리) (feat. Graphene)
이 글을 들어오신 분들은 '한글 자료'를 보시고 달려오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티스토리를 시작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Biosensor 관련 자료를 구하기가 정말 어려웠었고, 관련 분야에
yonsekoon.tistory.com
2. Gas sensor
Biosensor에 적용되는 장점과 동일합니다.
3. GFET, RF Device
GFET을 통해 Frequency가 매우 높은 소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전자 이동도가 매우 빠르니까요.
하지만, 그래핀은 밴드갭이 없어, 스위치 소자로는 응용이 못합니다. 즉 RF device로만 사용을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요. 하지만 Cut off frequency와 Oscillation frequency가 매우 높아, 전력 반도체에 크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추가적으로 말씀드리면, 현재 MIT에서 그래핀의 밴드갭을 생성시켜 반도체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예를 들어 그래핀을 Nanoribbon형태로 만들어서 밴드갭을 형성시켜 주지요.
4. 태양전지 &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 디스플레이로의 응용처는 특히 '투명 전극'입니다. 전자 이동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보다 효율이 더 좋을 것임을 예상합니다.
하지만 ITO 등 현재 상용화된 투명 전극에 비해 더 비싸면, 상용화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ITO도 엄청 비싸니까요.)
'그래핀'이 빠르게 발전되어 세상을 바꿨으면 좋겠습니다.
'신소재 공학 > 신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 동소체 (0) | 2022.11.21 |
---|---|
유기 반도체의 정의, 장점 (0) | 2022.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