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 반도체의 정의
유기 반도체는 유기물로 만들어진 반도체입니다.
유기물이란, 탄소와 수소의 화합물을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사람의 각질, 몸도 대부분 유기물이죠.
특정 반도체 시장은 무기 반도체(실리콘 등)가 아닌 유기 반도체를 적용하려고 많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유기 반도체의 장점
유기 반도체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ightWeight
2. Flexible
3. 저온 공정
4. 낮은 가격
>> 제조가 매우 쉽습니다.
Roll to Roll 공정이 가능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연속적인 공정이 가능합니다.
싸고, 저온 공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용화에 있어 유기 반도체가 무기 반도체에 비해 매우 유리합니다.
유기 반도체의 단점
유기 반도체의 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반적으로 무기 반도체 대비 유기 반도체의 반도체적 특성이 뛰어나지 않습니다.
2. 산소, 수분 등에 취약합니다.
3. 고전류를 가했을 때 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 유기 반도체
대표 유기 반도체는 OLED, OFET입니다.
LED에서 유기 반도체를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간단한 제조 공정으로 제조 단가가 쌉니다.
2. 낮은 전압 구동이 가능합니다.
3. 액정층이 존재하지 않아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가 가능합니다.(액정 분자 배열이 필요 없습니다.)
4. 백라이트가 없어 무기 반도체보다 얇게 제작 합니다.
5. Flexible 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6. Contrast ratio가 매우 좋습니다.
OLED의 단점
1. 산소, 수분에 매우 취약합니다.
2. 수명이 짧습니다.
현재 신뢰성의 문제로 OLED가 아닌 Inorganic LED로 다시 연구 방향이 바뀌었습니다.
FET에서 무기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적절한 용매에 잘 녹습니다.
2. 제조가 쉬우며, flexible 소자에 응용이 가능합니다.
3. 제조 공정이 쉽습니다.
'신소재 공학 > 신소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 동소체 (0) | 2022.11.21 |
---|---|
그래핀(Graphene) 특성, 응용 (Application) (0) | 2022.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