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인성반도체1 반도체 물성과 소자) 4. 평형 상태의 진성 반도체, 외인성 반도체의 거동 및 전자, 정공 농도(p형과 n형 도핑 원소를 왜 B(붕소), P(인)을 사용할까?) 2022.10.18 - [전자공학/반도체 이론] - 반도체 물성과 소자) 3. 페르미 에너지 준위 (feat 상태 밀도 함수, 페르미-디락 함수) 반도체 물성과 소자) 3. 페르미 에너지 준위 (feat 상태 밀도 함수, 페르미-디락 함수) Q. 페르미 에너지 준위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세요. A. 에너지 밴드 그림에서 가운데에 있는 거요! 탈락 전 포스팅에서 양자 역학의 기본과 이를 응용하여 3차원으로 확장시켰습니다. 이를 통해 에 yonsekoon.tistory.com 이 글을 보시고 오셔야 이해가 편하실 겁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상태 밀도 함수와 Fermi-Dirac 함수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습니다. 상태 밀도 함수는 전자 혹은 정공이 들어갈 수 있는 '방'입니다. Fermi-Dirac 함수는 전자가.. 2022. 10.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