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포스팅에서 Biosensor의 개념을 설명해드렸습니다.
2022.10.02 - [반도체/Biosensor] - Intro) Biosensor (feat. COVID-19)
Intro) Biosensor (feat. COVID-19)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세상이 정말 많이 변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Inflation, 실업률 등을 연구하고 예측하느라 이 3년이라는 시간이 정말 빨랐을 것 같아요. 미래를 예측하고 현재를 대비
yonsekoon.tistory.com
복습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Biosensor는 단어 그대로, Bio물질(핵산, 단백질, 박테리아, 바이러스 세포)을 Sensing 할 수 있는 device입니다.'
이 포스팅은 Biosensor 연구를 하기 전 가져야 할 마음가짐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다음 포스팅부터 구체적으로 Biosensor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고 넘어가도록 할게요.
![](https://blog.kakaocdn.net/dn/bLpOEl/btrNJAF23Hz/uixROpzCtCywqKjHj0UzN1/img.png)
Biosensor 관련 연구를 진행하면서 들었던 의문들이 있습니다.
1. 생명공학, 화학 쪽은 아예 모르는데, 연구가 가능할까?
Biosensor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전자, 반도체 중심 연구를 진행하셨던 분들입니다. 즉, 생명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저도 수능으로 물/지를 선택하였고 생명에 대해 아예 모르는 상태였습니다.(현재도 잘 모릅니다.) 그저 이해할 부분만 이해하시고 받아들이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2. 생명 관련 공부 & 연구를 진행해야 하나??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해할 부분만 이해하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생명 연구실에서 'Bio-receptor'을 연구합니다.
- Bio-Receptor는 필수로 아셔야 할 개념으로, 쉽게 말해 검출하고 싶은 target(바이러스, 단백질 등) Bio 물질을 잡을 수 있는 물질입니다.
전기전자 연구실에서는요?
생명 연구실에서 연구한 Bio-receptor를 이용하여 보다 고도화되며, 빠르고 정밀한 Device, FET을 만드는 것, 즉 소자를 연구합니다.
이번 Nature 논문에서는 칼슘, 칼륨, 나트륨을 같이 sensing 할 수 있는 Multi-sensing FET이 나왔습니다. 이런 식으로 응용을 하시면 됩니다.
대학 내 연구실이면, 생명 연구실과 collaboration 하여 같이 연구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3. 연구 속도가 너무 빠른 것이 아닌가?
네 맞습니다. 연구 속도가 정말 빠릅니다. Multi-sensing 및 Ultra response 등 고도화된 기술을 최대한 응용을 하셔야 합니다. 즉, 연구 및 공부를 정말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제가 찾아본 Biosensor 관련 논문은 대부분 Nature 학술지 논문으로, 그만큼 Nature가 좋아하는 논문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연구 주제가 Bio + electronics라서, 공부량이 정말 많습니다. 한국 연구자가 거의 없어 심지어 한글로 된 자료가 거의 없습니다. 구글을 통해 서칭을 많이 하셔야 하며, 논문을 많이 읽으셔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channel을 Graphene으로 이용한 소자를 연구하였기 때문에 더 없는 것 같았어요.)
입문은 제 블로그 포스팅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훨씬 더 효율적으로 공부를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