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6 반도체 물성과 소자) 11. MOSFET의 원리 (MOS 구조) 이번 장에서는 이번 카테고리의 마지막, MOSFET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전자기기는 대부분 MOSFET이 사용됩니다. 다중 접합 소자, MOSFET이란? pn junction은 단일 접합 소자(두 개의 반도체 접합)로 스위칭 특성 및 정류 특성을 이용합니다. MOSFET는 트랜지스터로, 단일 접합 소자가 아닌 다중 접합 소자입니다. 트랜지스터는 스위칭 특성 및 전류 이득, 전압 이득, 신호 전력 이득 등 증폭기 특성을 얻기 위해 사용합니다. MOSFET의 종류 n-channel MOSFET(nMOS) : 채널에서 전하를 움직이는 캐리어가 전자인 트랜지스터입니다. p-channel MOSFET(pMOS) : 채널에서 전하를 움직이는 캐리어가 정공인 트랜지스터입니다. CMOS : n-channel.. 2022. 10. 28. 반도체 물성과 소자) 10. 반도체 Heterojunction 반도체 - 금속 접합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2022.10.26 - [반도체 공학/반도체 소자 이론] - 반도체 물성과 소자) 9. Metal Semiconductor Heterojunction 반도체 물성과 소자) 9. Metal Semiconductor Heterojunction 반도체는 pn junction이 베이스인 소자입니다. 발광, 정류 특성 등 반도체에서 이용되는 특성은 모두 pn 접합에 인해 생깁니다. p-si, n-si를 접합시키면, 같은 재료의 반도체를 접합하였기 때문에 homoj yonsekoon.tistory.com 이번 시간에는 서로 다른 반도체끼리 접합하는 heterojunction에 대해서 배우겠습니다. 고성능의 반도체를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반도체끼리 접합시키는 경우가 많습.. 2022. 10. 27. 반도체 물성과 소자) 9. Metal Semiconductor Heterojunction 반도체는 pn junction이 베이스인 소자입니다. 발광, 정류 특성 등 반도체에서 이용되는 특성은 모두 pn 접합으로 인해 생깁니다. p-si, n-si를 접합시키면, 같은 재료의 반도체를 접합하였기 때문에 homojunction이라고 부릅니다. Q. 반도체의 모든 접합은 homojunction 일까요? 반도체에 전압을 가해주기 위해 금속을 반도체에 붙이기도 하고, 더 고성능의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 반도체에 다른 반도체를 결합시키기도 합니다. 이런 결합을 Heterojunction이라고 하지요. 오늘 설명드릴 주제는 Heterojunction입니다. Heterojunction의 분류 Heterojunction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Metal-Semiconductor Heterojuncti.. 2022. 10. 26. 반도체 물성과 소자) 1편부터 7편까지의 요약 반도체 물성과 소자 1편 ~ 7편까지는 반도체에 대한 기본 물성들을 설명하였습니다. 간단히 설명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에너지 밴드갭이라는 것이 있고, n형은 페르미 준위가 Intrinsic Fermi Energy 위에, p형은 페르미 준위가 Intrinsic Fermi Energy 아래에 있다.' 이번 편은 앞서 설명드렸던 이론들에 대한 정리 겸 복습입니다. 책과 글을 보지 않고 복습을 위해 작성하는 것이니 부정확할 수 있습니다. 틀린 내용이 나올 수도 있으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양자 역학 드브로이는 미시 세계의 모든 물질은 파동성과 입자성을 둘 다 가진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정상파 이론) 하이젠버그는 불확실성 원리를 통해 미시 세계에서 위치&운동량을 제대로 알 수 없음을 증명하.. 2022. 10. 25. 반도체 물성과 소자) 8. PN junction (Energy band 그림) Intro 반도체 물성과 소자 1편 ~ 7편까지는 반도체에 대한 기본 물성들을 설명하였습니다. '에너지 밴드갭이라는 것이 있고, n형은 페르미 준위가 위에, p형은 페르미 준위가 아래에 있다.' 이 정도만 해도 기업에서 원하는 반도체 기본 지식은 다 충족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석사 수준부터는 '반도체 기본 지식'을 알아야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1편 ~ 7편은 꼭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본 지식이 달라지면 그만큼 응용이 가능해지니까요. 8편 연재 시작, 반도체 소자에 대한 학문적 의견 이 8편부터는 꼭, 학부생들도 꼼꼼히 읽고 보셔야 합니다. 반도체 물성이 아닌, '반도체 소자' 쪽으로 내용이 바뀌기 때문이지요. 저는 한 면접에서 pn junction의 에너지 밴드갭을 그려본 경험이 있습.. 2022. 10. 25.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6 다음 반응형